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‘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’의 핵심은 단연코 “얼마를 받을 수 있는가?”입니다.

    2년간 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총 580만 원이 수령 가능하다는 말,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요?

    이번 글에서는 총 수령액의 구체적인 구성과 실제 수령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

    1. 기본 구성 – 총 580만 원의 정체는?

    청년 노동자 통장은 자산형성형 복지제도로, 본인 저축 + 경기도 지원 + 지역화폐로 구성됩니다.

    항목 내용 금액

    본인 저축 10만 원 × 24개월 240만 원
    경기도 지원금 2년 적립 완료 시 일괄 지급 240만 원
    지역화폐 분기별 또는 연 1~2회 지급 100만 원
    총액   580만 원

    ※ 단, 모든 금액은 2년 만기 유지 시에만 전액 수령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 2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본인 저축 – 매월 10만 원, 24개월

    가장 기본은 ‘내가 저축하는 돈’입니다. 매월 10만 원씩 24개월간 빠짐없이 적립해야 하며, 자동이체로 운영됩니다.

    ✔ 중도해지 시 본인 저축금은 전액 반환되나, 경기도 지원금과 지역화폐는 일부 또는 전액 수령 불가
    ✔ 만기까지 유지해야 최대 수령 가능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3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경기도 지원금 – 나와 같은 금액을 더해준다

    본인의 저축액과 ‘동일한 금액’인 총 240만 원을 경기도가 현금으로 매칭 지원합니다. 단, 이 금액은 중간에 지급되지 않고, 2년 만기 도달 후 일괄 지급됩니다.

    📌 예시: 월 10만 원 × 24개월 → 240만 원 저축 → 만기 후 240만 원 지원금 추가 지급

    ※ 저축 도중 해지 시, 경기도 지원금은 정산에 따라 일부만 지급되거나 지급되지 않습니다.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4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지역화폐 100만 원 – 생활비로 쓸 수 있다

    경기도는 추가로 100만 원을 지역화폐 형태로 지원합니다. 이 금액은 연 1~2회로 나누어 지급되며, 경기도 내 지역화폐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

    ✔ 사용 기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지급 후 사용 기간 반드시 확인 필요
    ✔ 주류, 담배, 유흥업소 등 일부 품목은 결제 제한됨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5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6

    5. 총 수령액 정리

    📌 총 580만 원 구성

    • 본인 저축: 240만 원 (현금)
    • 경기도 지원금: 240만 원 (현금)
    • 지역화폐: 100만 원 (경기도 내 사용 가능)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7

     

    📌 주의사항

    • 2년 만기 유지가 전제조건
    • 중도해지 시 지원금/지역화폐 일부 미지급
    • 반드시 교육 수료, 정기 저축 등 의무 이행 필요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8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9

     

     

    다음 글에서 이어집니다
    → [7편. 지역화폐 100만 원, 어디서 쓸 수 있을까?]
    → [10편. 전체 시리즈 허브페이지로 이동]

     

   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수령구조 카드 뉴스 표지10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